I. 서론
일반적으로 미얀마에는 8개의 민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1990년 군사독재자들은 미얀마에 공식적으로 135개의 민족이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것은 다수 미얀마민족인 7개 민족[1]의 정치적인 힘을 약화시키고자 하는 전략적 선언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군사독재자들은 이미 1988년에 국호도 버마에서 미얀마[2]로 바꾼 바 있다. 대부분의 민족 정치인들은 이렇게 국호를 변경한 것에 대해 7개 민족을 하나의 민족으로 변경하려는 목적 (Ethnic Assimilation) 이 있었던 것이라고 본다[i]. 예를 들어, 친 지도자인 Lian Hmung 은 ‘미얀마’라는 국호는 친, 샨, 카친, 다른 민족과 전혀 관계가 없는 국호라고 한다. ‘소수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도 견해 차이가 있는데, 일부 미얀마 시민들은 모든 민족 - Taingyintar이기 때문에 7개의 민족만을 종족으로 ‘Taingyinthar’라고 부르기 보다는 마얀마 (다수 민족)도 ‘Taingyinthar’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어로 미얀마의 7개 민족을 ‘소수민족’ 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한국의 거주하는7개 민족은 ‘소수민족’ 보다는 ‘민족’ 이라고 부르기를 원한다[3]. 왜냐하면, ‘소수민족’는 여러 면에서 약한 민족이라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4]
이 연구에서는 친
민족,
카친 민족, 샨 민족, 카렌 민족, 아라간 민족, 몬 민족과 카렌니 민족 (Kayah State) 주의 현재 미얀마 혁명에 대한 관점과 반응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처음으로 이 연구의
설계를 설명하고 이어서 2부에서는 7개 민족의 역사상 정치적 목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3부에서 Min Aung Hlaing의 쿠데타에 대한 7 개 민족들의 관점을 논한 뒤 4부에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7개 민족의 지도자들과 필자와의 회의에서 나온 내용을 원자료(primary resource)로
하며 책, 미디어 및 온라인 뉴스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2차 자료(secondary
resources)를 활용한다.
II. 7 개 민족의 정치적 목표이란 무엇인가?
오늘의 미얀마
연방국가는 1947년 2월 12일 Shan 주
Panglong에서 카친족, 샨족, 버마족이 연합하여 세운
국가다. 그러나 1947년 9월에 총리 U Nu와
변호사
Chan Tun은 팡롱 조약의 주요
구조
(Federal Democracy)를 Unitary State 구조로 변경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미얀마는 영국 식민지에서 독립한 이후 민족 간의
차별
문제로
인해
카렌족은
자치를
위한
카렌민족학(KNU)을
결성했다. 조직적으로 저항의 길을
간
최초의
민족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카친주 에서는 1960년에 Kachin
Independence Organization (KIO)[5]가
결성되어
독립을
위한
무장
반란을
시작하였다.
라카인
주, 샨
주, 친
주와
몬
주에서도
무장
수단을
통해
혁명에
참여하는
조직들이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미얀마에서는 70년 이상 내전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이
문제는
풀리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미얀마 전문가인 린트너(Lintner)에
따르면
1963년 네윈(Ne Win) 장군 정부의 혁명적
평의회에서
카친,
몬과
아라칸 지도자들은
독립을
강조했지만 Shan
은
연방
민주주의의
건설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민족
기구들은
자신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독립을
위해
싸웠다는
것을
볼
수
있다[ii].
1962년 3월 2일에 군부 쿠데타 이후 정부의 정책은 영국식민지 시절 이전의 미얀마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군부는 7개 민족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민족문학을 가르치는 것과 책을 인쇄할 수 있는 권리를 박탈했다. 한편, 1974 헌법은 미얀마어 (Bamar Language)를 공식언어로 지정하지만 1974년 헌법 194조에 따르면 7개 민족의 언어는 서로 대화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군대의 차별 정책을 보여준다. 민족혁명기구들은 군의 차별적 정책을 버마화(Burmanization[6])라고 부른다[iii]. 이러한 차별적 정책 때문에 7개 민족들은 무장 저항의 길을 택했고, 2021년 쿠데타 전까지 19개 이상의 민족무장 저항 기구가 있었다. 민족 무장조직들의 주요 목표는 처음에는 독립이었으나 나중에는 독립보다 낮은 자결권 및 평등권에 기반한 미얀마에서 연방 민주주의의 건설이 관찰되었다. 전 미얀마 군 장교이자 전 정보부 장관인 U Ye Htut 는 7개 민족 혁명기구들의 목표에 대해서 초기 목표는 민족 독립이지만 나중에 자기 결정권 및 연방민주주의의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보았다[iv]. 미얀마의 정치 전문가인 린트너는 민족혁명기구 목표의 변화 원인은 1978년 중국의 정치 변화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III. Min Aung Hlaing의 쿠데타에 대한 7개 민족의 관점과 반응
2021년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7개
민족의
관점과
응답은
쿠데타에
침묵하는
민족기구들,
쿠데타에
항의한
기구들과
쿠데타 반대 시위에 및 혁명에 참여하는
기구들
3가지로 볼
수
있다[v].
(a) 샨
주
Shan 주의
상황은
다른
주
보다
복잡하며
무장
조직이
많고
서로
무장 기구들 사이에도 정치적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전쟁과
갈등이
자주 있다.
Min Aung Hlaing의 쿠데타 이후 Shan 민족
무장
조직들의
관점과
응답이
다르게
나타났다.
UWSA는
Min Aung Hlaing의 평화 초청을 수락하고
참석하면서
UWSA 는 완전한 자결권
(WA
State)을 진지하게
요구했다.
그 회의에서 UWSA 대표들은 UWSA가 오늘날 미얀마 혁명에서 중립적인 조직이라고 밝혔다. 군사대변인 Zaw Min Tun은 평의회에서 Wa 요구를
원칙적으로 동의했다고 말했다[vi]. SSPP 기구도 Nay Pyi Taw에서 군사와 평화
회담에
참석했지만
Hsanhin Mountain에 위치한 SSPP 군인들을 철수하라는 군사
평의회
요청을
수락하지
않아
양측
사이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vii].
샨 주 북부에서
활동하는
MNDAA 기구들은
2021년
12월 한 달간 263차례나
군사과
싸워
198명의 군사군인을 살해한 조직이다.
한편,
UWSA와
RCSS의 전쟁으로 UWSA의 자매조직인 SSPP와 TNLA는RCSS와
충돌하고
RCSS는 영토를 잃었다. TNLA는
다른
민족적 기구들과
함께
PDF를 훈련하고 군사를 싸운
조직이다[viii]. 요약하면 Shan 주에 있는 대부분의
혁명
조직들은
NUG와 공식적으로 동맹을 맺지
않고
비밀리에
만나고
있다.
UWSA, SSPP, MNDAA는 군사위원회 (SAC)의 공식 평화
초청을
수락하고
평화를
논의하고
있는
기구들이다.
내부
정보에
따르면,
평화
회담에서
Shan 민주의 무장 조직들은 자기 자결권 (self-autonomy)을 진지하게
요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b) 친
주
2021년 3월 28일, 친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사가잉주
Kalay 도시에서 무장저항조직이 출현한 후
치주에
친국방위군
(Chinland/Chin Defense Force) 설립되고, 진국전선 (CNF) 과 친국공동방위군 (Chinland Joint
Defense Committee)이 창설되었다. CJDC은
미얀마에서 연방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군사
위원회
(SAC) 에 저항하고 싸우고 있다. 친족 무장조직들의
전략은
군사군인
부대가
친주에
도달할
수
없도록
공격하여
친족의
자결권을
발전시키는
것이다[ix]. 친(Chin) 주에는 시민불복종운동 율이 70% 이기 때문에 군사위원회의
정부
구성
메커니즘도
무너지고
있다[x]. 내부 정보에 따르면
친
주의
영토의
80%는 친 혁명 그룹들이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친주에서는 군사회의의 무차별적인 폭력으로
인해
2,000개 이상의 집과 많은 교회가
불탔다[xi]. 내부 정부에 따르면2022년
초, 친(Chin)
주의
일부
지역에서
미얀마
국기가
철거되고
친
국기가
세워진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이미
친
주에서
친
자결권을
설립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그 뿐만 아니라, 일부
친족
지도자들은
NUG에서 장관직(2)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친주에
임시
친족
국가협의회(ICNCC)를
구성하고,
그
협의회를
통해
NUG 및 기타 혁명 그룹들과
혁명에
활동하고
있다[xii]. 특히 2021년 4월 CNF/CNA와 CRPH/NUG 지도자 간의 함께
혁명을
하기로
공식
합의했다.
CRPH/NUG와의 파트너십에 대해 저자는
CNF 회장께 “CRPH/NUG와
파트너십을
맺은
이유가
무엇이냐”며
“CRPH 헌장에 나와
있는
자기결정권과
평등권
때문”이라고 CNF 회장은 말했다.
(c) 카친
주
2021년 2월 1일
쿠데타
이후
1961년부터 카친 민족의 자결권을 위해
무장혁명을
벌여온
KIO는 군부쿠데타를 규탄했을 뿐만
아니라
2021년
3월
25일부터 군사평의회를 공격하고 있다. 한편, 국민방위군 (PDFs)에
대한
훈련
및
기타
지원을
제공하는
기구다.
2021년
3월에 카친 혁명 조직들은
함께
카친
정치
임시
조정팀(KPICT)을
구성했으며
2021년
5월
27일에
CRPH와 연방 민주주의 국가를
달성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KPICT을 통해 Kachin 민족의 사람들은 NUG와 함께 혁명을
축하하고
있다.
Kachin 민족들은 NUG에서 최고 지도자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NUG 대통령은 Kachin 민족 주민이고, 다른 NUG 장관의 임무들도 Kachin 주민들이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xiii].
KIO는
카친
주에
군사
지원군이
도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가잉 주에서
국민방위군
(PDFs) 과 함께 군사위원회 (SAC) 를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Kachin 주에서는 KIO의 지휘 하에
Kachin People's Defence Forces(KPDF)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내부
정보에
따르면
KPDF의 구성원은 5,000명이 넘는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KIO는
Kachin 주뿐만 아니라 북부 Shan 주에도
대대가
있다.
내부 정보에
따르면
현재
KIO는 20,000명 이상의 군인을 보유한 것만 아니라
KIO가 관제구에는 학교, 진료소 및
무기
제조소까지
열고
있다고
했다.
(d) 카야
주/카렌니 주
카야주에는 군사 쿠데타 이후,
카야
시민
단체,
카야
여성단체,
2022 대선에 선출한 국회 위원들 대상으로 Karenni
State Consultative Council(KSCC)을 2021년 4월 9일에 구성되었다. KSCC에는
Political department, 사법부, 행정부 와 입법부
4개 부서로 구성되어 있는 기구다. 카야주
민족들은
KSCC을 통해서 NUG와 국가적 차원에서
군사위원회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조직이다[xiv]. NUG가 결성된 후에
3명의
Kayah 지도자가
NUG에서 최고 직위를 받았다.
평화로운
시위대가
쿠데타
군부에
의해
진압된
후,
KNPP/KA와 쿠데타 군인 사이에
다시
발포하기
시작했다.
De Moso에서 Kayah 청년을 기반으로 설립된
KPDF와 군사 군인 사이에도
전투가
발생했다.
군사적인 충돌이
증가함에
따라
Kayah 주의
5개 인민 방위군은 Karenni Nationalities
Defence Forces (KNDF)를 결성했고 2021년 8월에는
19개 대대로 증원된다[xv]. KNDF는
다른
EAOs 및
PDF와 제휴 관계를 맺고
군사군인들을
싸우고
있는
기구다.
내부
정보에
따르면
Kayah State의 NUG에는 8,000명 이상의 PDF 및 LDF가
있다고
한다.
KNDF의 성명에 따르면 Kayah 주의
군사
정부
기구의
90%가 붕괴되어 국민들은 해방시키기
위해
400개 마을에 진료소와 학교를
열고
있다.
군사는
카야족의
혁명 권력들을 무너뜨리기 위해 큰
무기와
전투기를
사용하여
국민들을
잔인하게
살해하고
있다고 한다.
Kareni Human Rights Groups의 기록에 따르면
카야주에서
416채의 국민들 집을 군사군인들이 불탔다. 현재 카야주에서는 군부의
자의적
쿠데타를
진압하기
위한
민족혁명기구들과
군사군인
간의
싸움으로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나
전쟁
난민으로
피난하고
있다[xvi].
(e) 카렌
주
카렌 주에는 미얀마 역사상
가장
오래된
민주화
무장
저항
조직인
KNU가 있다.
KNU는 2021년 최초로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한 최초의 조직이었다.
그 뿐만 아니라 평화적 시위대에 대한 군인들의
폭력으로
인해
카렌주
주민들이
시위
중
폭력을
당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해
보안을
책임지는
조직이다[xvii]. KNU 통제 지역에서 오늘날의
미얀마
혁명의
핵심
인물;
씨디엠
직원,
정치인과 예술가들이
숨어
있기
때문에 카렌주는 혁명의 전형인 조직이 되었다. 그러나
KNU 그룹 간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현 KNU 총장인
Padoh Saw Mutu Say Poe는 무력 혁명을
지지하지
않으며
정치적
문제는
대화를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고
표명했다.
또
다른
KNU 리더는
PDF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카렌 주에는
30,000명 이상의 군대와 20,000개
이상의
카렌
무장
조직이
있다.
그리고
10,000개가 넘는 PDFs를 통해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KNU도 군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5월 9일에 KNU는 군사회의 (SAC)의 평화 초청을 거부하고
참석할
수
없다고
답했다.
반면
NUG에서는 일부 카렌족이 최고
지도자가
되어
국가가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연방
민주주의를
향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NUG의 현 총리도 카렌족이며,
카렌
사람들은
연방
민주주의
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xviii].
(f) 라카인
주
라카인 주는 전
정부부터
군과
아라칸
대공군 (Arakan
Army) 사이에 군사적
문제와 내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라카인
주에는
60개 이상의 육군 대대가
주둔하고
있다.
예전같은 심각한
군사적
갈등은
없지만
간헐적으로
충돌이
일어나고 있다.
AA 지도자
Tun Myat Naing은 Rakhine 주의 AA 혁명 무장 조직이
2009년 결성된 이후 30,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카인
주에서 일어나는
민주화 운동의 양상은 다른 주와 다르다.
특히
AA는 군부 쿠데타를 규탄하면서도
라카인
주에서
CDM을 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러한
여건으로
인해
라카인주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쿠데타에
대한
반대가
약한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한편, 군사 지도자인 Min Aung Hlaing는 아라칸 주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
아웅산
수치
여사
정부에서
체포된
아라칸
지도자
아이
마웅
박사도
석방했을 뿐만 아니라AA와
접촉한
인물들도
석방됐다. 군사는 Daw Aung San Suu Kyi 정부가 AA를 테러 단체로
지정한 것을 취소했다. AA는 ‘Rakhita Road – Rakhita’를 라카인
주민들을
위한
정치적
목표로
정의했다.
사실상 ‘Arakan dream – Rakhita Way’는 1784년 이전에 독립된
Rakhine 국가를 건설하는 목표다[xix]. 하지만 군사는 Rakhita Way을 받아들일 수 없는 점에서
양측 사이에 갈동이
고조되고
있다.
Asia Times와 회견에서 AA 리더인 Tun Myat Naing은 아라칸 사람들의
꿈은
연방
민주주의 (Federal
Democracy)보다
높은
연방
(Confederation State)을 원하는 것이라고 단호하게
대답했다[xx]. 한편 AA는 인민혁명연대(PRA-Magway)와
매그웨주에
편성된
아쇼친
방위군(Asho
Chin Defense Force)에 군대를 공격하기
위해
군사훈련을
실시했다고
관계자들은 내부 정부를 통헤서 알 수 있다. 그리고, AA는 군부의
평화
초청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라카인
주민들은
자신들의
민족을
위해
혁명을
하고 있음을
목격했다[xxi].
IV.
결론
미얀마는 민족다양성을 기반으로
건설된
국가다.
인종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70년 이상 평등권의 결여에
관한 8개 민족 간의
문제가
있어왔다.
그러나
7개 민족과 다수 민족 계 민주화
운동가
사이에
연방
민주주의에
대한
합의가
없다는
점에서
7개 민족에 대해 두
개의
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의
주요
원인이
군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일부는
그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쿠데타에
대해
다르게
대응했다.
그러나
7개 민족들의 공통된 정치적 목표는
민족에
기초한
자결권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군부에 대항하고자 하는 시민들이 오늘날의 미얀마
혁명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동맹을
맺고
혁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Kachin, Chin, Karen 및 Kayah는 해당 지역의
군사군대와
치열하게
싸우고
있다.
이 민족들은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다른
집단에
훈련
제공
무기를
제공하는
주거지가
만들어지면서 NUG에서
최고
지도자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Chin,
Kachin, Kayah 및 Karen 지역의 주민들은 지역을 지배할 수 있고 학교
및 병원을 열면서 자기 결정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해온 것으로 판단된다. 민족군와 NUG 간의에도 군사 전쟁에서 함께
싸우기
위해
C3C"를 결성되었다. 내부
정보에
따르면 민족을
대표하는
무장
단체와
NUG 간의 미얀마 연방 군대
건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7 개 민족들의 거주하는
지역에는
군사의
정부의
메커니즘이 넘아가고 있다고 손실된다.
그러나 다른 민족조직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여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민족조직들은
이전
정부와
문제가
있었던
조직이나
갈등이 있어던 조직들이다.
AA와
Shan 주의 일부 무장 기구들은
군사
쿠데타를
규탄했지만
군사적으로
싸우면서 반대하지는
않았다.
AA는 라카인 로드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에
UWSA는 군사의 평화 회담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혁명의
중개자 고Wa
State 건설에만 관심 있는 점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미얀마의 역사상의 다양정지적 다름점은 쿠데타후에는 이전의 다양성보다
훨씬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이
연구를 통해
미얀마 국민들이
군사
쿠데타에
대한
저항을
통해
미얀마에서
연방
민주주의를
건설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 Lintner주장에 따르면, 친, 샨, 몬, 카친, 카렌, 카렌니 와 아라간은 소수 민족 -Taingyinthar이다.
[2] Lian Hmung에
의하면 Burma는 1948년에 제정된 국호다. ‘미얀마’는 1044년부터 1885년까지 영국 시대 이전에 미얀마 민족(현재 다수 민족)들이 세운 나라의 이름이다.
[3] Kachin Community Korea의
지도자는 ‘소수 민족’
보다
‘민족’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다른 친(Chin) 민족의 지도자도 “미얀마의 친도 소수민족이 아니라 민족이라고 불러야 한다”라고 말했다.
[4]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소수민족’이라는 용어 대신 ‘미얀마의 7개 민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자 한다.
[5] 카친
독립기구(KIO)는 1960년 10월 25일에 우누 수상의 국가 건설 변화로 인해 카친 지도자들에 의해 결성된 기구 다.
현재 KIO는 KIO (Central Committee branch), 카친독립협의회(KIC), 카친독립군(KIA) 3개로 이루어져
있다. 30,000명 이상의 군인과 자주적인 토지를 가진 무장 저항 기구다.
[6] Burmanization에는 예를 들어 언어 동화정책으로서 ‘Bamar’어만 공식 언어로 사용하기, 종교적인 정책으로 불교만 공인하기, 문화적 정책으로 Bamar의 전통 및 문화만 공식적으로 이용하기 등이 있다
References
[i] Lian Hmung and Paul Keenan. (2014), Ending Ethnic
Armed Conflict in Burma, Burma Center for Ethnic Studies
[ii] Lintner, Bertil.
2020. Why Burma’s Peace Efforts Have Failed to End Its Internal Wars
[iii] Denis D. Gray. 2018. Myanmar Forces Burman Culture on
Minorities, erases identity, AP News. Accessed on:
https://apnews.com/article/southeast-asia-ap-top-news-international-news-asia-myanmar-249d72db491a47a79886c43b6085b6d2
[iv] Ye Htut. Myanmar’s
Political Transition and Lost Opportunities (2010-2016), ISEAS- Yusof Ishak
Institute.
[v] Samuel Hmung. (2021). New friends,
old enemies: Politics of Ethnic Armed Organizations
after the Myanmar Coup, New Mandala. Accessed on
https://www.newmandala.org/new-friends-old-enemies-politics-of-ethnic-armed-organisations-after-the-myanmar-coup/
[vi] NP News, UWSA demands self -
administration; SAC agrees in principle. Accessed on https://npnewsmm.com/news/62984e9588a58a04cd1fb017
[vii] Mizzima, Peace Call Fails: Two-
pronged Strategy with Scorched-earth policy getting the junta nowhere. Accessed
on
https://www.mizzima.com/article/peace-call-fails-two-pronged-strategy-scorched-earth-policy-getting-junta-nowhere
[viii] Myanmar Now. TNLA, Myanmar Military
Clash in Namkham, Northern Shan State. Accessed on https://www.myanmar-now.org/en/news/tnla-myanmar-military-clash-in-namkham-northern-shan-state?page=21
[ix] The Guardian. Resistance to the
Myanmar regime in Chin State. Accessed on
https://www.theguardian.com/artanddesign/2022/jan/24/resistance-myanmar-regime-chin-state-photo-essay
[x] BNI Multimedia Group. Most Govt.
Staff Join Civil Disobedience Movement in Chin State. Accessed on
https://www.bnionline.net/en/news/most-govt-staff-join-civil-disobedience-movement-chin-state
[xi] Institute of Chin Affairs. Crimes and
Atrocities Committed by the SAC troops Against the Chin People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Military Coup. Accessed on https://chinaffairs.org/crimes-and-atrocities-committed-by-the-state-administrative-council-sac-troops-against-the-chin-people-during-the-year-following-the-military-coup/
[xii] The Irrawaddy. Chin National Front
Signs Deal with Myanmar's Shadow Govt. Accessed on
https://www.irrawaddy.com/news/burma/chin-national-front-signs-deal-with-myanmars-shadow-govt.html
[xiii] The Irrawaddy. Visions of a Federal
Future for Myanmar are Fading Fast.
accessed on -
https://www.irrawaddy.com/opinion/guest-column/visions-of-a-federal-future-for-myanmar-are-fading-fast.html
[xiv] TNI. Earning Credentials: A Karenni
Perspective on the future of Burma/Myanmar
Accessed on -
https://www.tni.org/en/article/earning-credentials-a-karenni-perspective-on-the-future-of-burmamyanmar
[xv] Tha Din News and Radio. KNDF formed
an addition battalion, totaling 19
Accessed on - https://thadinn.com/en_US/kndf-formed-an-additional-battalion-totaling-19/
[xvi] Kareni Human Rights Group. Accessed
on - https://www.khrg.org/
[xvii] Karen News. KNU Offer Anti-Coup
Protestors’ its Protection – Karen Civil Society Alliance Calls for Ethnic
Armed Groups to Unite and Foreign Embassies Denounce Military Coup.
Accessed on -
https://karennews.org/2021/02/knu-offer-anti-coup-protestors-its-protection-karen-civil-society-alliance-calls-for-ethnic-armed-groups-to-unite-and-foreign-embassies-denounce-military-coup/
[xviii] Ye Myo Hein, One Year On: The
Momentum of Myanmar's Armed Rebellion. p 35- 64
[xix] Aung Tu. 2022/71 ' The Arakan Dream
in Post- Coup Myanmar. ISEAS YUSOF ISHAK INSTITUTE. Accessed on -
https://www.iseas.edu.sg/articles-commentaries/iseas-perspective/2022-71-the-arakan-dream-in-post-coup-myanmar-by-aung-tun/
[xx] Lintner Bertil. Rebel Yell: Arakan
Army Leader Speaks to Asia Times. Asia Times.
Accessed on
https://asiatimes.com/2022/01/rebel-yell-arakan-army-leader-speaks-to-asia-times/
[xxi] Myanmar Now. NUG establishes ‘chain
of command’ in fight against regime. Accessed on -
https://www.myanmar-now.org/en/news/nug-establishes-chain-of-command-in-fight-against-regime
0 comments:
Post a Comment